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교육평가의 개념, 교육평가의 유형 및 방법, 이론과 모델 및 벤자민 블룸의 분류체계

by 퓨처에듀 갤러리 2024. 3. 23.

교육평가는 학습자의 학습에 대해서 학습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학습 방향을 설정, 개선하는 등 전반적인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교육평가의 개념과 평가의 유형 및 방법, 현장에서의 응용과 관련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교육평가의 개념

 


학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교육과정, 학습자와 교사, 학습환경에 대한 평가와 분석하는 과정을 교육평가라 합니다. 올바른 교육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방향을 조절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교육평가의 유형 및 방법


형식적 평가 (Formative Assessment): 학습이 진행되는 중간 중간에 실시되는 평가로서, 학습자의 이해도를 체크하고 학습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퀴즈, 모의고사, 토론등의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퀴즈를 통해 간단한 선택형 문항을 통해, 학습자의 이해도를 측정합니다. 모의고사를 통해, 실제의 시험과 유사한 형식으로 시험을 준비시킴으로써 학습자의 준비 수준을 평가합니다. 토론수업을 통해, 학습자 간의 토론을 통해 주제에 대한 이해도나 의사소통 능력 등 다방면에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위상적 평가 (Summative Assessment): 학습의 마지막 단계에서 전반적인 학습의 이해도와 성취도를 평가합니다. 전체 학습 내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기말고사, 특정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 수행 평가, 특정 주제에 대한 논문 평가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진단적 평가 (Diagnostic Assessment): 학습자의 사전지식, 강점과 약점 등을 미리 파악하여 맞춤형 학습을 계획, 수립할 수 있습니다. 진단 테스트를 통해 특정 주제에 대해 학습자의 지식을 평가하며, 선행지식 평가 (Prior Knowledge Assessment)를 통해, 학습자가 이전의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개별적인 학습의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교육평가의 이론과 모델

몇 가지의 교육평가 모델 중 먼저 타일러의 교육평가 모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949년 Ralph W. Tyler가 발표한 교육평가 모델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했습니다. 교육평가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평가의 목표 설정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목표가 설정된 이후, 학습활동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있어야 하며, 학습자의 성취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적절하면서도 다양한 평가방법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교육평가를 시행함으써 학습활동과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가 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합니다. 이러한 평가 과정을 체계적으로 시행하고 결과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평가 결과는 앞으로 교육 관계자와 교사들, 교육 전문가들이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타일러의 교육평가 모델은 평가를 단계적, 체계적인 프로세스로 정립했다는 큰 의의를 둘 수 있습니다.



벤저민 블룸 (Benjamin Bloom)의 분류체계


블룸의 학습목표 분류체계(Bloom's Taxonomy)에 의하면, 학습목표를 기억하기, 이해하기, 응용하기, 분석하기, 평가하기, 창조하기의 6가지 단계로 분류하여 교육과 평가를 디자인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피라미드의 상위 단계로 올라갈수록 사고의 심화를 요구합니다. 

 

bloom's taxonomy 분류체계 도표
블룸의 분류체계



가장 아랫 단계인 "기억하기"는 특정사실에 대한 기억을 끌어내기, "이해단계"는 지도자료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단계, 응용하기는 연관성이 있는 새로운 환경에서 정보를 이용하고, "분석하기" 단계는 스키마를 분해해서 관계를 파악하는 것, "평가하기" 단계는 정보를 검토하고 판단하는 단계, 마지막 최상위 단계인 "창조하기"는 정보를 이용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단계로 분류했습니다. 

이 외에 로버트 스타크 (Robert Stake)의 CIPP평가도 교육평가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의 약자로 Context 평가는 평가대상의 주변환경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교육정책이 시행되는 곳의 사회 문화적인 요소, 인프라를 평가합니다. Input 평가는 평가대상의 자원, 교재를 평가하고, Process 평가는 교육정책 과정에 대한 평가로서 교사에 대한 평가, 학습자 참여도 등을 평가합니다. 그리고 Product 평가는 정책의 결과물에 대한 평가로 교육 프로그램이나 정책이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평가합니다.